책 표지

여름은 고작 계절

카테고리: 국내도서>소설/시/희곡>한국소설>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저자: 김서해 (지은이)

페이지 수: 344p

출판사: 위즈덤하우스

출판일: 2025-06-25

가격: 11030원

평점: (8.7)

인기 순위: 소설/시/희곡 주간 11위

ISBN13: 9791171713929

소개

"주인공이 너무나 나 같다"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정확한 문장으로 짚어낸다" "표현력이 대단하다"는 평을 받으며 독자들의 마음을 가장 정확한 언어로 진단해온 《라비우와 링과》 김서해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 《여름은 고작 계절》이 위즈덤하우스에서 출간되었다.

목차

여름은 고작 계절
작가의 말

책 소개

"주인공이 너무나 나 같다"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정확한 문장으로 짚어낸다" "표현력이 대단하다"는 평을 받으며 독자들의 마음을 가장 정확한 언어로 진단해온 《라비우와 링과》 김서해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 《여름은 고작 계절》이 위즈덤하우스에서 출간되었다.

아메리칸드림이라는 환상이 긴 꼬리를 남기며 사라지던 2000년대, 열 살 '제니'는 갑작스럽게 미국으로 이민하게 된다. 필사적으로 영어를 배우며 친구들 사이를 맴돌던 어느 여름, 같은 한국인 이민자 '한나'가 나타난다. 따돌림을 당하면서도 꿋꿋하게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길 요구하는 한나. 제니는 자신과 같은 처지인 한나를 안쓰러워하면서도 적응하지 못하는 그를 한심하게 여긴다.

냉소와 순수, 동경과 질투가 뒤엉킨 채 시간이 흐르고, 제니와 한나가 멀어졌다 가까워졌다를 반복하는 동안 찾아온 세 번째 여름. 두 사람은 학교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백인 여자아이들이 초대한 호숫가 모임에 가게 된다. 그리고 한 시간 뒤, 단 한 사람만이 호수를 빠져나온다.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나는 친구를 찾아 헤맸고, 외로운 얼굴을 감추지 않았다"
가혹하고 눈부시고 애틋한 지난 계절의 우정에 대하여

가장 정확한 언어로 마음을 진단하는 작가
《라비우와 링과》 김서해 신작 장편소설


"주인공이 너무나 나 같다"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정확한 문장으로 짚어낸다" "표현력이 대단하다"는 평을 받으며 독자들의 마음을 가장 정확한 언어로 진단해온 《라비우와 링과》 김서해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 《여름은 고작 계절》이 위즈덤하우스에서 출간되었다.
아메리칸드림이라는 환상이 긴 꼬리를 남기며 사라지던 2000년대, 열 살 '제니'는 부모님의 결정으로 갑작스럽게 미국으로 이민하게 된다. 백인 아이들은 동양인 여자아이에게 모질기만 하고, 제니는 살아남기 위해 스스로를 깎고 마모시켜 '적응'하고 '성장'해나간다. 필사적으로 영어를 배우고 친구들 사이를 맴돌며 가까스로 손바닥만 한 자기 자리를 만들어낸 어느 여름, 한국에서 이민 온 '한나'가 나타난다. 따돌림을 당하면서도 꿋꿋하게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길 요구하는 한나. 제니는 자신과 같은 처지인 한나를 안쓰러워하면서도 적응하지 못하는 그를 한심하게 여긴다.
한나의 등장으로 제니는 자신이 몹시 미워했던 백인 아이들과 점점 비슷해져간다. 아이들에게 미움받는 한나와 가까워지는 것은 곧 무리에서 다시 한번 떨어져 나가는 것과 같았다.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고 춤을 추"듯 백인의 몸짓과 말을 흉내 내며 한나를 고립시키려 하지만, 한나는 아랑곳하지 않고 "너처럼 영어 잘하"고 싶다고, "친구를 많이 사귀고 싶"다며 제니에게 다가온다.
냉소와 순수, 동경과 질투가 뒤엉킨 채 시간이 흐르고, 제니와 한나가 멀어졌다 가까워졌다를 반복하는 동안 찾아온 세 번째 여름. 두 사람은 학교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백인 여자아이들이 초대한 호숫가 모임에 가게 된다. 그리고 한 시간 뒤, 단 한 사람만이 호수를 빠져나온다.

친구가 전부인 시절, 우정에 미숙한 아이들
영원히 닿을 수 없는 곳을 향해 몸부림치는 소녀들의 성장통


IMF 외환 위기의 여파로 일자리를 잃게 된 제니의 부모님은 미국이라는 천국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 한다. 그러나 아메리칸드림과 아메리카의 거리는 좁혀지지 않고, 기반과 자본이 없는 동양인 이민자 가정은 가난한 동네와 조금 덜 가난한 동네를 전전하며 온몸으로 차별과 부딪힌다. 부모님이 공장과 식당, 세탁소를 오가는 동안 "엄마랑 아빠가 먹여주고 재워주고" 제 힘으로 "돈 한 푼 안 버는" 제니는 어디에도 속할 수 없는 경계 위의 존재로서 사무치는 외로움을 뼈에 새기며 자라난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아 동양인 동급생에게마저 배척당하고, 머리가 짧고 축구를 잘한다는 이유로 레즈비언이라고 놀림받으며 한국인과 미국인, 여자와 남자, 아이와 어른 중 어디에 몸을 맞춰야 할지 알 수 없게 된다.
《여름은 고작 계절》은 자신의 자리를 찾지 못하는 서러움을 "사랑과 연대의 감각", 우정으로 해소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한다. 친구가 세상의 전부인 것처럼 느껴지고, 무리 지어 다니기 위해서라면 누군가의 손을 거침없이 놓아버릴 수도 있었던 사춘기는 제니가 살던 미국의 작은 소도시와 닮았다. 고작 계절일 뿐인 여름에서 사랑스러움을 발견하고 간직했던 한나처럼, "터무니없는 기쁨과 괴물 같은 고통"을 함께 안겨주던 지나가버린 시절의 친구들을 떠올려본다. 우리를 파괴했던 외로움과, 그럼에도 우리를 파멸에서 구해낸 사랑과 우정을 다시 한번 불러낸다. 그리고 여전히 "햇빛 한 점 없는 동굴"을 헤매는 이들에게 손을 내밀자. 한국인과 미국인, 여자와 남자, 아이와 어른 중 어느 것도 선택하지 않기로 하자. 선택지를 벗어나 너와 나를 가르는 경계를 지우고 천국도 지옥도 없는 곳으로 함께 가자. 이것이 제니가 긴 반성문을 통해 우리에게 전하려는 말이다.

이야기는 손이 통과하는 곳입니다. 이 소설은 누군가 제 손을 잡아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글을 쓰는 동안 깨달았습니다. 잡아주길 기다리지 말고, 팔을 뻗어야 한다는 것을요. 기다리는 사람에게 먼저 다가가야 한다는 것을요. 눈치 보지 말고 덥썩 잡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굴레가 끊어질 테니까요._〈작가의 말〉